티스토리 뷰

반응형

나의 글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네 가지 방법


1. 특정한 아이디어나 핵심 요소를 표시를 하는 것입니다. 바로 굵은 점인데요. 별표시를 하는 것입니다.
독자들은 이렇게 표시를 하는 글에 매력을 느낀다고 합니다.

2. 인용문 활용하기
인용문을 넣어 다른 사람이 말한글을 인용 부호를 넣어 글을 쓰는 것입니다.
아마도 독자들은 인용문에 먼저 눈길이 갈 것이라고 합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책에서 인용문구를 먼저 읽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저의 글에도 인용문을 넣으면 글이 섹시해질까요?

”나의 목표는 내가 보고 느낀 것을 최대한 간결하게 지면에 옮기는 것이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1961)

3. 작은 단락으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적는다.
단락이 길어져 글을 읽을 때 내용을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길게 적어 놓은 글은 저도 읽기가 싫어서 넘어가 버립니다.
긴 단락은 가능한 읽기 쉽도록 단락을 나누어 적어 놓는 것입니다.

4. 박스 안에 내용을 넣어 보는 것입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글을 박스를 쳐놓아 글을 꼭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 놓는 것입니다.

나의 글을 섹시하게 만드는 법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저의 글도 섹시해지고 싶은 마음으로 열심히 배워 보겠습니다.!

최면성 있는 블로그 글쓰기 비법


작가는 대부분 운영하는 블로그에 따분함을 느꼈고 자신의 블로그에 최면글 쓰기를  활용하여 블로그 쓰기를 했다고 합니다.
결과는 작가의 블로그에 몇 시간씩 머물렀다고 하는데요.. 이 대목 정말 부럽고 배우고 싶었습니다!

최면성 있는 블로그 글쓰기의 비법

첫 번째, 제목에 강력한 최면을 걸어 보는 것입니다.
”발견하다.” 어떻게 해서 문제를 해결했다는, 부가이익을 주는 심리글을 넣어 제목을 쓴다.

두 번째, 게시물에 실제 스토리로 채운다.
이 스토리를 대화를 활용하여 쓰면서 인용구를 넣어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저는 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채혈과 혈액검사를 하는 임상병리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병원에서 채혈을 하러 오시면  주삿바늘에 대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저는 그런 불안한 마음을 편하게 도와 드리고 싶어 먼저 말을 걸어 봅니다.
“어깨  긴장 푸시고요~! 주먹은 살짝 쥐어주세요~!!”

그러면 많은 사람들은 웃으시면서 “ 주사 바늘만 보면 긴장이 돼서요…”라고 말씀을 해주십니다.
처음보다는 많이 긴장을 풀은 상태로 웃으시면서 말씀을 하신답니다.

저의 짧은 유도의 대화말에 긴장을 풀어 줄 수 있다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가장 멋진 일이라 생각합니다.


최면성 있는 헤드라인을 만드는 방법


책에서는 최면성 있는 헤드라인을 만드는 방법은 30가지가 나와 있습니다.
저에게 끌리는 최면성 있는 헤드라인을 만드는 방법 몇 가지를 쓰려고 합니다.

1. 시작하는 단어로 제목을 유도한다.
이 방법은 위쪽에 최면성 있는 블로그 글쓰기에서 적었던 것처럼 제목으로 유도를 해야 하는 것이죠.
자극적으로 새로운 것으로 눈길을 끌 수 있게

2.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질문을 하라!
질문으로 독자를 참여시키고 호기심을 불러 읽으키는 방법입니다.

저도 글을 읽을 때 질문으로 유도가 되는 글을 보면
저의 생각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병원에 마지막으로 방문하셨던 게 언제였나요?
혹시 건강검진은 언제 마지막으로 받아 보셨나요?

3. 추천 글로 관심을 유도하라.
인용 부호로 시선을 끌어 독자들의 호기심을 끌어주는 것입니다.
“ 이 두 권의 책이 나를 최고의 부자로 만들어 주었다.”
“ 저는 채혈할 때 주먹을 꽉 쥐었더니 덜 아팠습니다.”

4. 독자에게 퀴즈를 내라.
“혹시 대장내시경 검사는 몇 년 주기로 검사하는지 아시나요?

5. 긍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라.
사람들은 해결책을 구매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누런 이는 보기 흉합니다.’ -> ‘10일이면 더 하얀 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어떠세요? 해결방법을 제시하되 믿음은 갈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꽂히는 글쓰기책을 리뷰를 해 보았습니다.
책의 내용이 더 궁금하시고, 당신의 글이 더 섹쉬해지기를 바라신다면 한번 읽어 보시기를 추천 드려 봅니다.

#책






반응형